"나도 걷는다(18-1)"..'하추자 '행복의 길'을..(3)
상태바
"나도 걷는다(18-1)"..'하추자 '행복의 길'을..(3)
  • 고현준 기자
  • 승인 2017.04.28 13: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올레18-1코스탐방기)하추자, 추자십경 자랑하는 보물섬

 

(18-1코스 상추자에서 계속)

 

 

 

 

 

 

하추자 올레길..

 

우리는 추자교앞에서 내려 추자교를 걸어서 하추자로 넘어가기로 했다.

추자교를 따라 하추자로 향하는 길..
그곳에서 보는 바다 또한 평화 그 자체다.

깨끗한 바다..풍성하게 보여지는 갯가의 각종 해조류들..
그 다리를 지나 우리는 묵리전망대로 오르기 시작했다.
오르고 또 오르는 길..
추자도올레길은 왜 그렇게 오르는 길이 많은지..

 

 

 

 

묵리전망대는 돈대산 정상을 말한다.

그렇게 긴 숲속길을 따라 올라가다 4거리를 만났다.

나는 산쪽으로 오르자고 했고 안종국은 지도를 보면 왼쪽으로 가야 한다며 왼쪽으로 가자고 우겼다.

나는 하도 확신을 갖고 말하기에 그냥 따라가 보기로 했다.

그 길은 내리막길이었다.

우리는 올라야 하는데 내리막길이라니..

그래도 어딘가 있으려니 하고 계속 걸었다.

그때 안종국이 말했다.

"길을 잘못 든 것 같다"며 "그 길로 다시 올라가야 한다"고..

지친 몸에 한참을 걸어 올라왔다가 다시 내리막으로 들어섰는데..
다시 그 길을 올라가려니 더 힘이 들었다.

     
 

 

 

 

 

 
 
 

문제의 교차로까지 와서 나는 돈대산 오르기를 포기했다.
그리고 홀로 옆길을 따라 걸었다.

긴 숲길을 따라 계속 걸어 나오다보니 아주 예쁜 마을 하나가 나타났다.
묵리다.

돌담도 특이하고..집들이 오순도순 앉아 있는 모습이 정겹고 평화롭기만 한 마을이었다.

아직도 우물터가 그대로 남아있는 이곳은 옛날부터 물이 많아 논농사까지 지었다는 곳이다.
그리고 "묵리라는 이름은 이곳에서는 일출을 볼 수 없어 그런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 있다"는 이기범 대표의 얘기도 들을 수 있었다.

 

 

이곳 묵리수퍼앞에 18-1코스 중간스탬프 포스트가 있었다.

스탬프를 찍은 시간은 15시57분..

묵리는 외지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마을이라고 한다.
조용하고 평화로운 그런 곳에 살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얘기다.

사실 이 마을은 집과 집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서로 평화롭게 살도록 일부러 만든 마을 같았다.

높은 집이 거의 없었고 모든 집이 아담한 모습으로 앉아 있는 아주 조용한 마을이었다.
이 길을 따라 다시 오르막길을 걷는데 그곳 위에 다다르니 바다에 예쁜 섬 하나가 우뚝 눈앞에 나타났다.

 

 

길에 핀 유채꽃도 예뻤지만 섬을 배경으로 한 그 광경이 참 보기가 좋았다.
이 묵리를 지나는 동안 하추자의 올레길은 포장된 차도를 피해 굳이 산길을 걷도록 연결하고 있었다.


농지가 없는 추자도에는 이런 숲길이 참 많았다.
이 올레길은 추자도에서는 드물게 보이는 갈대밭 지역이었다.

그런데..
그 길을 다 걸어나오자.. 우람한 산 한 쪽을 다 부숴놓은 슬픈 모습이 나타났다.

 

 

 

큰 바위산을 거의 동강낸 이 채석장 모습은 인간이 얼마나 자연에 무심한 존재인가를 느끼게 만드는 광경이었다.

그 안으로 차도 많이 다니는 것으로 보아 나는 아직도 그곳에서 채석이 이뤄지는 줄 알았다.

추자면 주민자치위원장을 역임한 이기범 대표는 “예전에 항구를 만들 때 필요해서 부숴서 돌을 갖다 썼지만 지금은 주민들의 반대로 채석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 안을 다니는 차들은 그곳에 골재를 놓아두고 이를 옮기는 골재업자 차량들”이라는 설명.

이런 점만 보더라도 추자주민들의 추자도의 환경을 바라보는 시각을 잘 알 수 있다.

평생 도민들이 살아온 터전인 마을 몇 개를 없애더라도 공항을 반드시 지어야 한다고 하는 국토부나 제주도의 인식과 크게 다른 것이다.

그런 환경을 바라보는 인식의 차이가 아름다운 추자도를 남아있게 만든 요인이리라.

추자도올레는 그래서, 바라보면 볼수록 마음이 좋아지기에 행복의 길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숲속길 올레는 참으로 길고 긴 길이었다.
올랐다 내렸다..오르막이 있다가 내리막으로..
조용하기만한 아기자기한 숲속길을 참으로 오래 걸었다.

가끔 보이는 의자에 앉아 쉬기도 하면서..여유롭게 걷다 보니..
그 숲속길 끝에 다다르니..바다 멀리 웅장한 사자바위와 함께 신양항이 눈앞에 나타났다.
대서리 추자항이 상추자의 중심이라면, 신양항은 하추자의 중심이다.

이곳 주민들의 종합적인 얘기에 따르면 “신양항의 입지가 잘못됐다”는 불만이 가장 컸다.

그동안 1천억원이라는 어마어마한 예산을 투입했지만 아직도 완성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불만과 그런 입지의 잘못으로 인해 큰 배가 들어오지 못해 추자도가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그들의 불만요인이었다.

 

 

 

추자주민들의 설명은 “신양항은 1차 완공될 때 배가 침몰하는 사고까지 겹쳐 그에 대한 우려가 크다"고 말한다.

항구 마을 한쪽은 아예 통 암석으로 이 바닷속 암반을 부수려고 했더니 전 추자도가 들썩거려 건들지도 못한다는 것이다.

지금도 추자주민들은 아주 큰 항구가 들어설 수 있는 섬과 섬을 이을 수 있는 지역을 가리키며 그곳에 항구가 들어선다면 추자도에도 큰 배가 들어와 지금보다는 몇배나 더 발전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하지만 신양항은 아직도 공사가 진행중인 상태다.

이 올레 숲속길은 그 이후에도 계속 이어졌고 예초리 마을 하나를 지나자 항구옆쪽으로 신하리 동쪽삼거리에 도착했다.

 

 

 

그곳에 돈대산을 올랐던 유인택과 안종국이 이미 내려와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찬 커피를 한잔 하고 싶었는데..편의점 점원이 '잠시 외출'이라는 푯말을 내걸더니 문을 닫아버렸다.

이제 오후 6시나 돼야 문을 다시 여는 모양이다.

이곳에 앉아 있던 한 주민은 나를 보자 "올레를 다 걸으면 상을 주느냐?"고 물었다.

"상은 없지만 올레를 다 걸으면 인증서와 사진을 찍어 올레홈페이지에 올려준다고 합니다"라고 웃으며 답했다.

그는 또 말하기를 "상이 너무 작네..아주 더 큰 상을 줘야지.."하며 활달하게 웃었다.

그들은 마을 사람들이었지만 소주를 더 달라고 하자 편의점을 나온 직원은 "이미 마감을 다해 버렸다"며 종종걸음으로 아예 그곳을 떠나 버렸다.

추자도편의점은 편의점 점원의 편리한 대로 문을 여는 것으로 보여 특이했다.

 

 
 

유인택은 그 모습이 아쉬웠는지 집에서 감귤을 갈아 냉동시킨 음료수를 녹이며 내게 주었다.

목도 마르고..참 맛있게 먹을 수 있었다.

우리는 멀리 보이는 사자바위를 바라보며 다시 걷기 시작했다.

모진이해변과 황경헌 묘 가는 길이라는 안내판을 따라 가다 올레길을 벗어나 바다쪽으로 향해 걸어갔다.

이곳 모진이해변은 제주도에서 지금 사라지고 있는 알작지해변과 같은 곳이었다.

제주시 내도동 알작지는 잘못된 공사로 속이 드러나 그 아름다운 소리가 사라져 버렸지만..
이곳 모진이해변은 알작지소리가 달그락거리며 귀를 즐겁게 했다.
특이한 것은 이곳에는 그렇게 심한 해안쓰레기가 많지 않다는 것이었다.

 

 

 

 

 

제주도 해안가에 널려있는 해양쓰레기가 추자도에는 드물게 단지 몇몇 곳에서만 발견됐다.

이 해안가를 따라 황경헌 묘를 오르는데 그 오르막이 장난이 아니다.

오르고 또 오르고..다시 올라도 그 끝을 보기가 참 힘들었다.

그렇게 정상까지 올라가자 황경헌 묘가 있었다.

이곳 안내판에는 다음과 같이 쓰여져 있었다.

 

 

 

 

 

 

마리아 정난주의 아들 황경헌의 묘역

 

이 신도의 예초리 산20번지 605평 되는 황경헌의 묘역은 제주 천주교 전래 100주년 기념으로 공원을 조성하였다.


경헌의 모친 정난주는 정약현의 딸이며 다산 정약용의 조카이다.
고모부 배두루 이승훈에게 세례를 받고 문과 장원급제한 황사영과 결혼,6년만에 경헌을 낳아 주문모의 유아세례를 받았다.


황사영은 백서사건으로 순교하고 아내는 두 살인 아들 경헌과 제주유배 중, 호송선이 예초리에 머물자 몰래 이름과 출생일을 적어 저고리에 싸서 물새울 황새바위에 두고 떠났다.


마침 오재일의 고조께서 애 울음소리를 듣고 데려다 잘 키웠고 자라서 아들 건섭과 태섭을 낳았으며 오늘날 6세손까지 이어졌다.


한편 정난주의 묘역인 대정읍 동일리 12번지의 2,310평을 성역화 하자 전국 신도들의 순례지로 찾아든다
.

 

 

조금 아래로 길을 따라 내려오니 약수가 흘러나오는 곳에 또하나의 안내판이 서 있었다.

 

 

 

황경한의 눈물

 

황경한은 조선 순조때 천주교 박해사건인 신유사옥서 백서를 작성한 황사영과 정난주(마리아) 사이에 태어났다.


황사영은 1790년 약관 16세 나이로 사마시에 진사로 급제한 인재로서 당시 명문가문인 정약용의 맏형 정약현의 딸 정난주와 결혼하였고 신유사옥 때 천주교도의 핵심 주모자로 지목되어 1801년 11월5일 서소문 밖 사람들이 오가는 저자거리에서 대역부도죄를 저지른 중죄인으로 처참하게 순교하였다.


황사영의 부인 정난주는 제주 대정현의 관노로 유배되고 당시 2살이던 아들 황경한은, 추자도로 유배되어 강진에서 배를 타고 제주로 가던 중 추자도 관리에게 아들을 인계하면 죽임을 당하리라 믿어 뱃사람과 호송관리를 꾀어 아들의 이름과 내력을 적은 헝겊을 아기의 옷에 붙여 추자도 예초리 해안가 바위에 내리고 하늘이 보살펴 주길 바랬다.


다행히 소를 방목하던 하추자도 예초리 주민인 오씨부인이 울고 있는 아이를 거두어 성장시켜 홍씨가 없던 추자도에서 창원 황씨 입도조가 된다.


정난주는 제주도에서 관노로 37년간 길고 긴 인욕의 새월을 살면서 늘 아들을 그리워하다 1838년 2월28일 사랑하는 남편이 있는 하늘나라로 소천했으며, 아들은 자신의 내력을 알고 난 후 항상 어머니를 그리워하며 제주도에서 고깃배가 들어오면 어머니의 안부를 물어봤다고 전해진다.


이곳은 어미를 그리워하는 아들이 애끓는 소망에 하늘이 탄복하여 내리는 황경한의 눈물로서 가뭄에도 마르지 않고 늘 흐르고 있다.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은 감동적이고 애틋한 사연을 새롭게 열리는 추자 올레길과 함께 단장하며 지나가는 길손에게 잔잔한 감흥을 불어넣고 있다.

 

 

황경한인지 황경헌인지..

추자주민들은 황경한으로 쓰고 있지만 한자로는 황경헌이 맞는 듯 하니 이름을 하나로 통일시켜 줘야 할 것 같다.
나는 이곳에서 황경한의 눈물을 한 모금 마시고..물을 작은 생수병에 담았다.

추자도 올레를 걷다가 포기하고 몸살로 앓아누운 김형권을 먹이면 혹시 몸이 좋아질까 해서 였다.

이곳에 단체손님을 데리고 와서 추자도에서 오륙도가 바라보이는 곳이라는 설명을 하는 관광안내인의 말을 따라 바다를 보니 진짜로 오륙도처럼 섬들 몇 개가 바다에 떠 있었다.


우리는 좀 더 쉴까 했지만 단체로 아주머니들이 몰려와 시끄러운 관계로 바로 일어섰다.

이곳에는 관광객이 많이 찾는 곳인 듯, 환경헌 묘 외에도 추자십경이란 안내판이 하나 더 서 있었다.

 

 

     
 
 

 

 

추자 10경

1) 우두일출(牛頭日出) - 우두도(속칭, 소머리섬)의 초여름 일출 광경이 소의 머리 위로 해가 뜨는 것과 같은 형상이다.


2) 직구낙조(直龜落照) - 상추자의 서북방 최단에 거북 모양을 한 직구도가 있는데 저녁 노을이 매우 아름답다.


3) 신데어유(신데漁遊) - 하추자 예초리와 신양리 사이의 신데에는 천혜의 황금어장이 형성되어, 낚시꾼들이 즐겨 찾는다.


4) 수덕낙안(水德落雁) - 하추자의 남쪽 끝에는 사자 형상의 수덕도가 위풍당당하게 떠 있는데, 각종 물새가 사자머리에 해당하는 섬 꼭대기에 앉아있다가 먹이를 쫓아 바다로 쏜살같이 하강하는 광경을 말한다.


5) 석두청산(石頭菁山) - 하추자도에 있는 청도라는 섬이 있는데, 마치 사람의 머리 같은 산꼭대기의 암반이 푸른빛을 띤다.


6) 장작평사(長作平沙) - 신양 포구의 해변을 가리키는데, 폭 20여m에 길이 300m의 자갈 해변이다.


7) 망도수향(望島守鄕) - 추자군도 섬들 가운데 가장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섬이 망도(속칭 보름섬)이다. 타향에 나갔던 사람들이 고향으로 돌아올 때 먼 수평선에서 가물거리듯 망도가 시야에 들어오면 가슴을 설레게 한다. 추자군도의 수문장 역할을 한다고 전해진다.


8) 횡간추범(橫干追帆) - 횡간도는 제주도의 가장 북단에 위치하고 있다. 옛날에는 시원스레 펼쳐진 흰 돛을 단 범선들이 떠가는 풍경과 한데 어우러져 한 폭의 그림을 연상케 했단다.


9) 추포어화(秋浦漁火) - 추포도는 제주도에 딸린 유인도 중 가장 작으면서도 멸치떼가 가장 많이 모이는 섬이다. 추자군도의 정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이 섬은, 어둠 속의 멸치잡이 불빛과 잘 어우러진다.


10) 곽게창파(곽게蒼波) - 추자도와 제주 본도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관탈섬의 또다른 이름이 "곽게" 이다. 과거 유배객들이 제주도로 들어올 때에 이 섬 앞에 이르면 갓을 벗었다는 데에서 섬 이름이 유래되었다. 곽게섬 부근의 푸른 물결은 세상인연을 지워버릴 듯 무심히 너울거리며 흐른다. 그래서인지 더욱 푸르게 느껴진다.(출처=대한민국구석구석}
 

 

(내용이 많아 2번에서 계속 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